유성엽 국회 교육뮨화체육관광위원장 “올림픽 시설 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사후 계획 조속히 마련해야”

▲ 유성엽국회의원(정읍)
문체부의 2018평창동계올림픽 경기장 사후활용 계획이 여전히 확정되지 않아 올림픽 경기장이 사후‘돈 먹는 하마’로 변질 될 수도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유성엽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장은 대회가 3개월여 앞으로 다가왔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유동적인 경기장 활용 계획을 지적하며 하루 빨리 구체적인 사후 활용 계획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체부로부터 받은 평창동계올림픽 사후 시설 관리 계획 자료에 따르면, 경기장(개・폐회식장 포함) 13곳 중 신설경기장이 90% 후반대 준공률을 보이며 속속 위용을 드러내고 있으나 강릉 아이스하키 경기장과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 정선 알파인 경기장은 사후 관리 주체마저 미정이다.
관리 주체가 되었다 할지라도, 실 주체측은 사후활용 계획을 충분히 숙지하지 못하고 있고 정해진 관리 주체와 계획도 차후 변경 될 가능성이 다분해 사실상 사후 계획은‘백지’인 상황이다.


올림픽 플라자(개・폐회식장)의 관리주체가 된 강원도는 협약된 사후 활용방안의 내용조차 충분히 숙지하지 못하고 있고 방안의 실효성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도 불충분한 상태이다. 알펜시아 슬라이딩 센터 관리 주체가 된 한국체육대학교의 경우는 구체적인 방안과 사후 수익성까지 고려한 대안을 마련해 놓고 있지만, 차후 관리 주체가 변경 될 수도 있는 문체부측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온전히 사후 활용 대안 마련에 총력을 기울일 수 없다는 전언이다.

상황이 이렇게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문체부는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문체부는 유의미한 시설 사후 활용 방안을 마련하겠다며 기재부, 강원도, 체육계, 평창조직위 등이 참여하는‘사후활용 계획 현황 및 실무 TF’를 조직할 예정이지만, 이미 지난 2015년에 비슷한 내용의‘실무활용 TF’를 구성했다가 별다른 성과 없이 중단된 바 있다.

또한 올림픽 경기 티켓이 극심한 판매 부진에 시달리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10월 24일 현재 기준으로 올림픽 티켓 목표 판매량 107만매 중 34만매로 31.7% 밖에 판매되지 않았고, 패럴림픽의 경우 목표 판매량 22만매 가운데 9천4백매로 단 4.2%에 그치고 있다. 이에 평창조직위는 티켓 판매율을 높이기 위해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언론과 미디어를 통한 홍보 등을 활용하는 것 이외에 별다른 큰 대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이렇듯 문체부와 올림픽 조직위가 허황된 계획으로 일관하고 있는 사이 평창동계올림픽이 빚잔치가 될 것이란 비판이 일고 있다.
실제 과거 올림픽을 개최한 여러 국가가 미흡한 사후 계획으로 과도한 빚을 떠안았다. 1998년 나가노 동계올림픽은 당시 개최를 위해 지어진 경기장 때문에 매년 억대의 유지비용이 드는가 하면, 2004년 아테네 올림픽을 개최한 그리스의 경우는 대회 이후 관광산업이 극대화 될 것을 예상하여 대회를 위해 쏟아 부은 예산 12조 가운데 9조를 빚으로 충당했지만, 결국 실패로 끝났다.

인천아시아경기대회는 사후 시설 활용이 옥련국제사격장 연 1회, 강화고인돌체육관 연 2회에 불과하여 연간 약 100억 원의 적자가 지속되어 지자체 재정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유 위원장은“약 14조원의 예산이 투입된 거대한 올림픽 인프라를 감당할 역량을 확보하지 못한다면, 대회의 관심이 식어 갈수록 엄청난 관리 비용 때문에 올림픽 유산은‘애물단지’로 전락돼 오히려 지역 전체 삶의 질이 피폐해지는 역설적 결과를 불러올 것”이라며“중앙정부와 강원도, 평창, 강릉 등은 시설을 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사후 계획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새백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